누구나 책, 누구나 도서관!

책마을해리는 바다가까운 폐교 

나성 초등학교에서
 

책마을과 책학교, 박물관, 도서관을 

일구는 공동체입니다

종이와 활자, 책의 은하계로 떠나는 

오랜 모험, 함께해요.

촌장이 문득



다시 돌아와 찾는, 쓰고 그리는 본능

활자의 삶과 죽음, 재생


 책의 바탕으로 고창이 가지고 있는 고창한지와 선운사 「석씨원류」 판본처럼, 우리 동양은 종이와 활자를 만들었어요. 그런데 종이와 활자는 새로운 문화역량으로 서양에서 먼저 꽃피운답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혁명으로죠. 출판시스템이 만들어지고, 정보의 유통이 보편화됩니다. <앎의 보편>을 통해 유럽은 인류의 현재를 앞서 이끌게 되었어요. 유럽에는 책마을이 많아요. 책의 바탕을 만들었으되, 아쉽게도 동아시아에는 온전한 의미의 책마을이 없습니다(책이라는 물건의 생산을 꾀하는 공간으로서 책마을은). 고창 책마을이 동아시아에서 그 시작을 엽니다.


 책마을해리는, 활자꾸미기와 글・그림만들기, 편집하기, 전통방식으로 제본하기 같이 책(기획부터 제작까지)을 둘러싼 다양한 캠프를 열어가고 있답니다. 책을 만드는 과정에서 채우는 콘텐츠는 지역의 알차고 다양한 이야기예요. 책마을이 놓인 고창의 역사, 문화, 생태와 농업활동과 지역생활사죠. 캠프 참가자들은 고창의 소중한 먹을거리, 볼거리, 즐길거리들을 즐기고 취재하고 책으로 만들어 냅니다.


 책마을은, ‘누구나 책, 누구나 도서관’이라는 모토로 자신의 생각과 삶, 이야기를 한 권의 책으로 지어내기 바라는 학교와 단체, 개인들을 기다립니다.


책마을해리 촌장 이대건

책마을해리는 
이렇게 여기까지


1939년 개교하고 2001년에 폐교된 

나성초등학교를 2000년대 중후반부터 

이대건 촌장과 이영남 관장 가족이 정착하여

조금씩 보수하고 가꾸어 2013년 책마을해리가 

설립되었습니다 


2013

책마을해리 설립



2014

고창교육지원청 '토요방과후마을학교'

고창행복원 '생각의 싹 틔우기'프로그램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한권의 책 한개의 도서관'

어린이 시인학교 운영



2015

고창교육지원청 '토요방과후마을학교'

고창행복원 '생각의 싹 틔우기'프로그램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밭 매다 딴짓거리'

농촌작은문화교실 '청소년 편집 디자인 스쿨'

어린시인학교 운영

청소년 동학캠프 운영



2016

고창교육지원청 '토요방과후마을학교'

고창 행복원 ''마을예술가를 만나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밭 매다 딴짓거리2'

토요꿈따락 '이미지로 옮기는 사람책'

'마을신문 해리'창간

어린이책학교 2016 운영

청소년 만화학교 운영



2017

고창교육지원청 '토요방과후마을학교_그림책작가교실'

고창교육지원청 '방과후마을학교_인문공작소 하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이미지로 소리로 노는 미디어학교'

2017 책마을 책학교 운영

제1회 책영화제 개최


201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 '애니스쿨 해리포터즈' 운영

2018 책마을 책학교 운영

청소년 인문건축학교 '톰 소여의 아지트'

청소년 동학캠프 '우리가 동학IN' 

청소년 독서문화캠프 운영

제2회 책영화제 개최



201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연극제작단'

고창교육지원청_방과후 마을학교 '튼튼튼 발효공작소'

전북창업지원센터_'세상을 담는그릇 콘텐츠 크리에이터'

전북문화관광재단_거꾸로캠프 '시인학교', '만화학교'

전북문화관광재단_'청년문화예술 출판대학'

제3회 한국지역도서전 개최

제3회 책영화제 개최


2020

전북창업체험지원센터_'콘텐츠 크리에이터'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운영

학교- 마을 연계형 방과후마을학교_'책마을방과후책학교'

대안교육위탁교육기관_'책학교해리'

청소년 만화학교 운영

청소년 그림책학교 운영

제4회 책영화제 개최



2021

학교-마을 연계형 방과후마을학교_'책마을방과후책학교'

대안교육위탁교육기관_'책학교해리'

고인돌 세계유산 탐사대 운영

이미지로 옮기는 사람책 시즌2 프로그램 운영

미디어학교 프로그램 운영

출판프로젝트 '표서록' 여름캠프 운영

마을 레지던시 운영

제5회 책영화제 개최




2022

청년출판캠프 <아무려나, 보름> 진행

청소년출판캠프 <아무려나, 열흘> 진행

대안교육위탁교육기관_'책학교해리'

아동문학 스테이지_건강한 세상을 만드는 '비치코밍 책만들기'

어린이 가족주간 <봄책축제>

책마을해리 레지던시 운영

지역서점 문화활동 프로그램 운영

북앤메이커 프로젝트 '그림책이 살아나요' 

나흘동안_청소년 생태학교 운영

닷새동안_청소년 영화학교 운영

일주일동안_여름읽기학교 운영

제6회 책영화제 개최

제1회 국제생태예술제 개최


2023

어린이 가족주간 <봄책축제>

책마을해리 농촌유학 운영

리싸이클링북아트 '그림책은 살아있다' 운영

청년메이커스 워크숍 

해리포터즈와 함께 하는 <봄날의 콘서트>

시,끄러워시 시백일

국제예술전_Between 전

<고인돌 나라 소년 전사> 홍종의, 신은미 작가 북토크

<밸런스> 이인석 작가 북토크

<생태미식학교> 김현숙 작가 북토크

<조국, 책과 사람을 말하다> 북콘서트

<생괭이 서로살림 북토크> 소중애, 이우현 작가

지역에서 찾는 이야기의 원천-지역출판학교 운영

지역출판 그림책학교 <우리 안 그림책 행성을 찾아서>

책마을해리 예술비평학교 <행성지구인문>

제7회 책영화제 개최

제2회 국제생태예술제 개최


2024

어린이가족주간 <책마을해리 책잔치>

박찬응 그림책 <소년, 날다> 전시

<혹등고래, 생면 무늬로 피어요> 오치근, 이대건 작가 생명콘서트

책마을해리 여름책학교 

상주작가 지원프로그램 운영

제8회 책영화제 개최

제3회 국제생태예술제 개최



2025

책마을해리에서 엿새간 청년출판캠프

박태진 사진전 <서해에서>전시





공간으로 읽는 책마을해리


책마을로 닿는 길


책마을해리는 전북 고창군 바닷가와 인접한 해리면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월봉성산마을을 좌우에 품고 있는 책마을해리는

마을 주민들과 책마을 식구들이 함께 가꾸고 만들어 가는 책공간입니다.

책마을이 오래도록 이 자리에 함께 하기 위해 입장료보단 책방에서 책을 구매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책생태계 살림에 함께해요.



“1인 1책 구매를 꼭 해야 하나요?”

책마을해리는 책을 살피고, 책을 읽고, 책을 사는 공간입니다. 

책의 생태계를 살려, 인류 오래된 미래를 지키려는 책마을해리와 함께해주세요.



운영 시간:  평일/단체 및 체험예약 진행, 토요일과 일요일, 공휴일은 일반개방 합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며, 11월과 12월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합니다.  

찾아 오는 길:  고창군 해리면 월봉성산길88 책마을해리

문의전화 번호:   070-4175-0914


동네방네 책마을해리